통일부, 민간단체 대북 물자반출 승인 재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1-08-09 10:18 조회35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은 2일 정례브리핑에서 북측에 남북영상호의 체계 구축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자료사진 - 통일뉴스]
정부는 남북 통신선 연결 첫 후속 조치로 지난달 29일 ‘남북영상회의 체계 구축’을 북측에 제안하고 30일 민간단체의 대북인도협력 물자 반출 승인을 재개했다.
통일부 이종주 대변인은 2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남북은 7월 27일 남북 간 통신연락선이 복원된 후 오늘 아침까지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직통전화를 통해 매일 두 차례씩 총 9차례의 정기통화를 진행했다”고 재확인하고 “정부는 지난 7월 29일 오후 남북영상회의 체계 구축과 관련하여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남측 소장 명의의 통지문을 북측에 발송했다”고 밝혔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지난달 30일 기자 간담회에서 "어제(29일) 우리측은 영상회담 시스템 구축 문제를 협의하자고 우리 연락사무소를 통해서 북측에 제의했고, 북측은 우리의 제안을 담은 문건을 접수하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종주 대변인은 “우리 측의 남북영상회담 시스템 구축 협의제안에 대해 현재까지 북한의 회답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종주 대변인은 “정부는 통지문에서 남북 간 통신연락선이 복원된 만큼 한걸음 더 나아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남북 간 대화를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출 필요성을 제기하고 구체적인 사항을 협의할 것을 제안했다”며 “정부는 북측이 호응해오는 대로 영상장비의 호환성 점검, 통신망 연결, 운용 테스트 등을 신속하게 진행하여 남북 영상회담 체계를 조속히 갖출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종주 대변인은 “정부는 지난 7월 30일 민간단체의 대북인도협력 물자 반출 승인을 재개했다”며 “이번 조치는 인도협력 민간단체 측의 지속적인 요청과 북한 취약계층 대상 복원 역량 물자 협력의 시급성 등 남북 간 인도협력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단체명이나 승인 품목 등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이종주 대변인은 “남북 간 인도적 협력은 정치 ·군사적 상황과 별개로 꾸준히 지속되어야 하며 특히 민간차원의 인도적 협력은 민간단체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추진한다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공개 범위는 민간단체의 입장을 존중하여 단체 측이 동의하고 단체들의 인도협력 사업 추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범위에서 정해왔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단체명과 품목 등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하여 왔다”는 것.
아울러 “남북 간 인도협력 추진방향에 대한 민간단체의 의견을 수렴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오늘 오후 3시 인도협력 민간정책협의회 운영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라며 “운영위원회는 통일부 인도협력국장과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약칭 북민협의 사무총장이 공동 위원장이며 남북인도협력 추진에 대한 실무사항을 협의하는 기구”라고 전했다.
정부가 남북통신선 연결 이후 낮은 단계의 남북교류협력을 재개하고 있지만 아직 북측의 구체적인 반응은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중앙위 부부장은 1일자 담화에서 “통신연락선들의 복원에 대해 단절되었던 것을 물리적으로 다시 연결시켜놓은 것 뿐이라는 그 이상의 의미를 달지 말아야 한다”고 꼭집어 남측의 흐름을 경계하기도 했다.
이종주 대변인은 “정부는 남북 간 통신연락선 복원이 오랜 기간 단절되었던 남북관계를 복원하고 남북 간 신뢰 회복하는 출발점이라고 인식한다”며 “통신연락선 복원을 시작으로 남북 간 대화가 재개될 수 있도록 서두르지 않고 차근차근 남북관계 개선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만 밝혔다.
북측은 오히려 이달 한미합동군사연습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여정 부부장이 8월 한미합동군사연습을 주시하겠다고 공언한데 대해 이종주 대변인은 “통일부는 한미연합훈련이 어떠한 경우에도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으로 조성하는 계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에서 지혜롭게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일관되게 노력해왔다”며 “앞으로도 이러한 방향에서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아울러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에 대한 질문에 “북한은 종전에도 한미연합훈련을 전후해서 공식기구나 당국자 명의의 담화, 각종 보도매체 논평 등을 통해 이를 비난하고 중단 등을 요구해온 사례가 있었다”며 “이번 담화의 명의나 발표시기 등에 대해 특별히 논평할 사항은 없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